공부방법
-
시험공부 태도에 대한 몇가지 생각공부방법 2024. 11. 1. 12:19
1. 욕구를 어느 정도 통제해야 한다. 책상 앞에 앉아서 지식을 쌓는 공부를 한다는 것이 본능에 반하는 것이다. 식욕, 성욕, 수면욕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2. 공부는 쉬어서는 안 된다. (하루동안 공부 중간에 휴식을 취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고, 일주일에 하루이틀 쉬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공부를 아예 놔버리는 기간이 없어야 한다. 공부는 습관이고 관성이기 때문이다. "한 번 정도는 괜찮겠지"라는 말은, 술이나 담배 끊는 사람이 같은 말을 하는 것과 같다. 한두번 미루다 보면 오히려 공부를 하지 않는 관성이 생긴다. 3. 핑계를 대지 말라 공부는 원래 본능에 반하는 것이라 항상 핑계가 생긴다. 더우면 더워서, 추우면 추워서, 날 좋으면 좋아서, 날 안좋으면 안좋아서, 배고프면 배고파서,..
-
법학 사례형 시험 답안지 작성법 (변호사시험 사례형 시험 답안지의 구조, IRAC)공부방법 2022. 11. 8. 10:48
1. 법학 사례형 시험 답안지의 구조 모든 법학 사례형 시험 답안지는 "쟁점 - 대전제 - 소전제 - 결론" 구조를 따릅니다. 미국 로스쿨에서는 "IRAC"(Issue - Rule - Aplication - Conclusion)라고 가르칩니다. 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쟁점 (Issue) 소크라테스는 죽는가? 2. 대전제 (Rule, 법리) 모든 인간은 죽는다. 3. 소전제 (Aplication, 사안의 적용)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4. 결론 (Conclusion)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2. 각 목차를 어디서 가져오는가? 가. 쟁점, 소전제, 결론 - 문제 및 지문에서 가져옴. 나. 대전제 - 법전의 조문 및 머릿속 판례의 법리 부분에서 가져옴 결국, 외워야 할 것..
-
'시험에 합격한 사람'의 공부방법을 따르세요공부방법 2022. 10. 23. 08:11
우리나라의 무슨 시험이든 그 시험을 오랫동안 준비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변호사시험도 이제 11회의 짧은 역사밖에 안 되었지만 신림동과 신촌에 그 수험생들이 많습니다. 당신이 원하는 시험에 진입하여 로스쿨이든, 학교 고시반이든, 신림동 학원이든 들어가면 원래부터 시험을 공부하던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들은 당신에게 이런저런 조언을 할 수도 있고, 당신이 이들을 선배로 우러러보며 따르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냉정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시험에 떨어진 사람'의 공부방법은 따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히려 그들의 공부방법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합격한 사람들, 그 중에서도 어린 나이에 단기간에 합격한 사람이나, 고득점으로 합격한 사람의 공부방법을 따르셔야 합니다. 남들이 다 한다고 좋은 공부방법..
-
법학(변호사시험) 사례형, 기록형 공부방법공부방법 2022. 10. 22. 20:58
0. 서론 (넘겨도 무방) 기술했듯이, 저는 시험에 한 번도 떨어져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시험에 합격하는 방법 만큼에는 자신있습니다. 시험에 합격하려면 "시험공부"를 해야 하지, 진리를 탐구하는 공부를 하면 안 됩니다. 시험공부방법 중에서도 사례형, 기록형 공부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험에 나올 것을 공부하기 - 기출문제의 쟁점 파악 기본서를 읽기 전에 기출문제부터 봅니다. 초심자는 진도별 사례집이 좋습니다. 기록형은 회차별로 봐도 무방합니다. 기출문제를 보고 시험에 어떤 쟁점이 나오는지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민총 맨 처음에 나오는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정지조건설 해제조건설 이딴걸 20~30분씩 들여가면서 정독할 필요 없습니다. 왜냐하면 사례형, 기록형에도 안 나오고, 객으로 나와도..
-
시험에 합격하는 공부방법공부방법 2022. 8. 14. 12:45
저는 살면서 한 번도 시험에 떨어져본 적이 없습니다. 군필로 만 27세에 변호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시험에 합격하는 공부방법' 만큼은 자신있고, 이번에는 이에 대해 가장 개괄적으로만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공부는 어떻게 하여야 할까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공부'를 해야 합니다. 2. 그렇다면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공부를 하여야 할까요. 가. 시험에 나오는 것들을 공부하면 됩니다. 공부하는 것의 경중을 파악하세요. 중요한 것의 기준은 ① 교수님이나 학원 강사가 중요하다고 한 것, ② 그 시험의 기출문제, ③ 그 분야에서 최근 이슈가 되는 쟁점(법학에서는 소위 '최신판례')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나.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열심(熱心)이라는 말뜻 그대로,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과는 ..